청년월세지원 소득기준 총정리

2025 청년월세지원 소득기준 총정리 (중앙정부·서울시)

2025 청년월세지원 소득기준 총정리 (중앙정부·서울시)

본 글은 2025년 공개자료를 바탕으로 정리되었습니다. 사업 공고·지침은 수시로 개정되므로 신청 전 공식 안내를 반드시 확인하세요.

중앙정부: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소득기준

구분소득기준비고
청년가구 소득 기준중위소득 60% 이하 19~34세, 부모와 별도 거주, 무주택 등 기본요건
원가구(부모 등) 소득 기준중위소득 100% 이하 다만 아래 예외에 해당하면 미적용
원가구 소득 미적용 예외 ① 30세 이상 ② 혼인/이혼 ③ 미혼부·모 ④ 독립생계 인정
재산 기준(참고) 원가구 4억7천만원 이하, 청년가구 1억2천2백만원 이하(지자체 공고 기준 다수 동일)

※ 접수기간·지급기간은 지자체 공고에 따르며, 일부 지역은 2025년 초까지 접수·지원이 이어졌습니다.

2025 기준중위소득(100%) & 계산 예시

가구원수100% (원)60% 예시(반올림, 원)
1인2,392,0131,435,208
2인3,932,6582,359,595
3인5,025,3533,015,212
4인6,097,7733,658,664
5인7,108,1924,264,915
6인8,064,8054,838,883

※ 복지부 고시(2025년) 기준. 60% 계산은 소수점 첫째 자리 반올림 예시입니다.

서울시: 청년월세지원 소득기준 (지자체)

항목기준비고
연령/대상 19~39세, 서울 거주 무주택 1인가구 주민등록 기준, 본인 신청
소득기준 기준중위소득 150% 이하 예: 1인가구 150% ≈ 3,588,020원
주택 요건 임차보증금 8천만원 이하, 월세 60만원 이하 공고연도 조건 준수
지원 규모 월 최대 20만원 × 12개월(생애 1회) 신청기간·정원 한도 주의

신청 전 체크리스트

  • 사업 구분: 중앙정부(한시 특별지원) vs 지자체(서울시 등) 중 어디에 해당하는지 먼저 확인
  • 소득 산정: 신청 연도 기준중위소득표로 계산(지자체는 건강보험료 기준 안내하는 곳도 있음)
  • 예외 조항: 30세 이상·혼인/이혼·미혼부모·독립생계 인정 시 원가구 소득 미적용
  • 재산·주택 요건: 재산 한도, 보증금·월세 상한 등 공고문 필수 확인

다음 이전